비가 오면 메트로 마닐라 도로가 강으로 변하는 이유
페이지 정보

본문
▪2025년 7월 22일 폭우로 인한 홍수로 필리핀 수도 마닐라는 마비되었고, 수만 명이 집에서 대피했으며 최소 두 명이 실종된 것으로 추정된다.
[필리핀-마닐라] = 메트로 마닐라의 일부 도로는 홍수 시 죽음의 덫이 되는 반면, 다른 도로는 통행이 가능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한 재난 과학자에 따르면, 일부 도로는 실제로 수로 위에 건설된 것이었다. NOAH 프로젝트의 대표이사인 마하르 라그마이는 남서 계절풍이나 열대성 저기압으로 인해 폭우가 내리면 물은 원래 경로를 따라 흐른다는 점을 지적했다.
"거리가 침수되는 진짜 이유는 오늘 소셜 미디어에서 볼 수 있는 것들입니다. 물이 실제로는 도로를 따라 흐르지만, 우리가 도로에 물을 뿌린 것이다."라고 그는 7월 21일 월요일 페이스 북에 게시했다.
저기압과 하바갓이 인구 밀집 지역, 도시 지역, 저지대 지역에 폭우 또는 폭우를 계속 내리면 서 루손 섬의 여러 지역, 특히 마닐라 수도권을 포함한 여러 지역에 홍수가 발생했다. 소셜 미디어에 온통 보도되고 있다.
주민, 현장 취재진, 그리고 정부 관계자들이 전국 곳곳에 서 허리에서 가슴까지 차오르는 홍수 현장을 포착했다. 월요일 밤, 너무 높이 불어난 홍수로 인해 북루손 고속도로(NLEX)에 차량들이 수 시간 동안 꼼짝 못하게 되었다.
마닐라에서는 통근자들이 타프트 애비뉴와 에스파냐 대로를 따라 홍수 속을 헤쳐 나갔는데, 그곳의 물이 홈통 수위까지 차올랐다. 모든 필리핀 국민은 침수된 거리, 꼼짝 못 하는 차량, 그리고 물에 잠긴 마을의 모습을 잘 알 고 있다. 폭우가 내리면 어김없이 이런 일들이 일어난다.
그런데 왜 수십 년째 이 위기는 해 결되지 않고 있을까요?
필리핀 대학(UP)이 2017년에 실시한 연구 에 따르면 주요 홍수 원인은 콘크리트 표면 증가, 건물 밀집도 증가, 수로 막힘, 쓰레기로 가득 찬 배수구, 그리고 물이 자연스럽게 흐르던 평야 지역의 개발이다. 지리적 특성상 홍수는 불가피한 듯하다.
마닐라 대도시권은 마리키나, 파시그, 산후안, 툴라한 등 4개 강이 마리키나 강 유역의 수로 역할을 하는 광대한 홍수범람원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연구자들은 메트로폴리탄 마닐라 개발청(MMDA)이 지적한 홍수 위험 지역 23곳을 분석한 결과, 이러한 도로는 홍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높이 지어진 것이 아니라 인근 개울과 저지대 도 로변과 같은 높이에 건설되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홍수 발생 위험이 높은 지역은 대부분 도로와 개울이 교차하는 곳이고, 물이 고이는 지역도 있다." 도로는 얼마나 높은 곳에 건설되는가? 마닐라 리잘 애비뉴에 있는 리카르도 파파 거리가 언급된 사례 중 하나였으며, 연구자들은 이 거리가 "도로변보다 낮고 세 개의 하천 구간 꼭대기 아래에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에 따르면 케손시티의 필코아 지역은 인근 개울보다 불과 3.8미터 높이에 위치해 있다. 마닐라의 R. 파파 지역은 개울 바닥보다 불과 1.38미터 높이로 더 낮다. 한편, 파시그 시의 C-5 바공 일로그를 따라가는 도로는 하천 바닥보다 불과 3.92m 위에 있다. 배수망 부족. 연구진은 또한 8개 지점에서 수로가 지나가야 할 곳에 배수망이 없는 것으로 보이며, 아마도 콘크리트로 덮여 있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발견했다.
UP Diliman에서 연구원들은 CP Garcia Avenue를 따라 더 큰 수로를 발견했는데, 이 수로는 제방에서 불과 1.25미터 높이에 위치해 있다. 이 수로는 지름 1미터의 암거가 가로지르는데, 이 암거는 도로 아래 하천이나 배수를 위한 터널 역할을 한다. 이 연구는 "수로의 가장 낮은 부분 위에 쌓였지만 여전히 주요 수로 제방 아래에 있으며 홍수 에 취약하다"고 덧붙였다.
연구에 따르면 UP Diliman의 Don A. Roces Avenue는 개울 바닥 보다 4m 높아 "충분히 높은 편"인 반면, CP Garcia는 홍수에 더 취약하며 짧지만 강렬한 뇌 우가 칠 때는 금방 통행이 불가능해진다. 보고서는 "이것은 교차하는 개울의 고도에 따른 도로 건설이 도로가 침수되는지 여부에 영향 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라고 덧붙였다.
UP 연구는 홍수 조절 프로젝트가 일반적으로 예 상되는 홍수 발생 빈도에 기반한 기술 기준을 따른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기준은 빗물이 모이 는 지역의 규모에 따라 결정된다. 연구에 따르면 유출량 데이터나 올해의 가장 큰 홍수 기록이 없는 경우 엔지니어는 강수량 데 이터를 이용해 홍수 가능성을 추산한다고 한다. 연구자들은 저지대 도로의 홍수 문제는 UP Diliman의 A. Roces Avenue의 설계를 채택하면 해결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도로는 폭우 시 대량의 물을 처리할 수 있는 도로 아래의 유압 구조물을 갖추고 있다. 두 그림은 개울을 가로지르는 자연 경사면을 따라 건설된 도로와 강둑 위로 높게 건설된 도로 를 비교하고 있으며, 파란색 원은 물이 통과할 수 있는 암거를 표시하고 있다. 저지대에 빠르게 고이는 빗물 유출을 관리하기 위해 도로변에 철망 배수구를 설치할 것을 권 장한다. 연구진은 과도한 빗물을 저장하는 지하 저장고가 개울로 배수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형적 저지대를 따라가는 도로는 개울둑 위에 있더라도 개울의 범람을 수용할 만큼 충분한 여유 공간이나 여유고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개울 위의 도로는 큰 강을 건너는 도로와 같은 방식으로 설계하고 건설해야 한다.
연구자들은 이 솔루션이 홍수 완화를 넘어 운전자들이 연료 소비 증가를 막고 교통 체증으로 인한 잠재적 소득 손실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열대성 저기압 단테가 올해 필리핀을 강타한 네 번째 폭풍이 되면서 기후 변화의 영향이 더욱 심화되면서 정부는 실질적인 홍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압력이 커지고 있다. 수년간 수십억 페소 규모의 홍수 관련 예산이 승인되었지만, 별다른 영향은 없는 듯합니다. 2025년에 2,481억 페소가 배정될 예정인데, 필리핀 국민들이 이를 주시하고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